
제어 시스템에서의 근궤적 기법은 1948년 Evans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모든 물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전달 함수 형태로 표현됩니다.
G(s)로부터 극점과 영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극점과 영점의 위치는 안정성, 상대 안정성, 과도응답 및 오차 분석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시스템이 작동할 때 끼임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가 시스템에 들어가서 극점과 영점의 위치를 변경합니다. 제어 시스템에서의 근궤적 기법에서는 근의 위치, 그들의 이동 궤적 및 관련 정보를 평가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시스템 성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근궤적 기법이 무엇인지 소개하기 전에, 이 기법이 다른 안정성 기준보다 가지는 몇 가지 장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근궤적 기법의 일부 장점은 아래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제어 시스템에서의 근궤적 기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구현하기 쉽습니다.
근궤적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쉽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근궤적은 매개변수를 표시하는 더 나은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제 본 기사에서 자주 사용할 근궤적 기법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있습니다.
근궤적 기법과 관련된 특성 방정식 : 1 + G(s)H(s) = 0은 특성 방정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제 특성 방정식을 미분하고 dk/ds를 0으로 설정하면, 분기점(break away points)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분기점(Break away Points) : 극점에서 시작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근궤적이 충돌한 후 대칭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점. 또는 특성 방정식 1 + G(s)H(s) = 0의 다중 근이 발생하는 분기점. 분기점에서 근궤적의 가지가 분리되는 지점에서 K의 값이 최대입니다. 분기점은 실수, 허수 또는 복소수일 수 있습니다.
분기 진입점(Break in Point) : 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분기 진입점이 플롯에 나타납니다:실축 상의 두 인접한 영점 사이에 근궤적이 있어야 합니다.
.
중심(Centre of Gravity) : 이는 중심점이라고도 하며, 모든 점근선이 시작되는 플롯의 지점을 의미합니다. 수학적으로, 이는 전달 함수에서 극점과 영점의 합의 차를 극점의 총 수와 영점의 총 수의 차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중심은 항상 실수이며, σA로 표시됩니다.
여기서, N은 극점의 수이고 M은 영점의 수입니다.
근궤적의 점근선(Asymptotes of Root Loci) : 점근선은 중심점이나 중심에서 시작하여 특정 각도로 무한대로 향합니다. 점근선은 근궤적이 분기점에서 이탈할 때 방향을 제공합니다.
점근선의 각도(Angle of Asymptotes) : 점근선은 실축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다음 공식으로 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 = 0, 1, 2 ……. (N-M-1)
N은 극점의 총 수
M은 영점의 총 수입니다.
도착각 또는 출발각(Angle of Arrival or Departure) : 시스템에 복소 극점이 존재할 때 출발각을 계산합니다. 출발각은 180-{(다른 극점들로부터 복소 극점까지의 각도의 합)-(영점들로부터 복소 극점까지의 각도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근궤적과 허수축의 교차점(Intersection of Root Locus with the Imaginary Axis) : 허수축과 근궤적의 교차점을 찾기 위해 Routh-Hurwitz 기준을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보조 방정식을 찾고, 해당 K 값이 교차점의 값을 제공합니다.
이득 여유(Gain Margin) :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기 전에 설계된 이득 요소 값이 곱해질 수 있는 범위를 정의합니다. 수학적으로 다음 공식으로 주어집니다:
위상 여유(Phase Margin) : 다음 공식으로 위상 여유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근궤적의 대칭성(Symmetry of Root Locus) : 근궤적은 x축 또는 실축에 대해 대칭입니다.
근궤적의 임의의 점에서 K의 값을 어떻게 결정하나요? K의 값을 결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크기 기준(Magnitude Criteria) : 근궤적의 임의의 점에서 크기 기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공식을 사용하여 원하는 임의의 점에서 K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근궤적 플롯 사용 : 근궤적의 임의의 s에서 K의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는 또한 제어 시스템에서의 근궤적 기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어진 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제 근궤적 기법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전체 성능이 만족스럽고 운영이 안정적인 K 값의 범위를 찾아야 합니다.
근궤적을 작성하기 위해 기억해야 할 몇 가지 결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아래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근궤적이 존재하는 영역 : 모든 극점과 영점을 복소평면에 플롯한 후, 다음 간단한 규칙을 사용하여 근궤적이 존재하는 영역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구간의 오른쪽에 있는 극점과 영점의 총수가 홀수인 경우만 해당 구간이 근궤적을 형성합니다.
별도의 근궤적의 수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 별도의 근궤적의 수는 극점의 수가 영점의 수보다 클 경우 극점의 총 수와 같으며, 그렇지 않으면 영점의 총 수와 같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모두 고려하여 어떤 종류의 시스템에 대해서든 근궤적 플롯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이제 근궤적을 그리는 절차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오픈루프 전달 함수에서 모든 극점과 영점을 찾아 복소평면에 플롯합니다.
모든 근궤적은 k = 0인 극점에서 시작하여 K가 무한대로 가는 영점에서 종료됩니다. 근궤적의 가지가 무한대로 향하는 수는 G(s)H(s)의 극점과 영점의 수의 차와 같습니다.
M과 N의 값을 찾은 후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근궤적이 존재하는 영역을 찾습니다.
분기점과 분기 진입점을 계산합니다(있는 경우).
점근선의 기울기를 계산하여 복소평면에 점근선과 중심점을 플롯합니다.
출발각과 근궤적이 허수축과 만나는 지점을 계산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K의 값을 결정합니다.
위의 절차를 따르면 어떤 오픈루프 전달 함수에 대해서든 근궤적 플롯을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이득 여유를 계산합니다.
위상 여유를 계산합니다.
Routh 배열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쉽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Statement: Respect the original, good articles worth sharing, if there is infringement please contact 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