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앰프 적분기는 오프앰프(op-amp)와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적분이라는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적분은 시간에 따른 곡선이나 함수 아래의 면적을 찾는 과정입니다. 오프앰프 적분기는 입력 전압의 음수 적분에 비례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합니다. 이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지속 시간과 진폭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프앰프 적분기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s), 아날로그 컴퓨터, 그리고 파형 조성 회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프앰프 적분기는 사각파 입력을 삼각파 출력으로 변환하거나, 사인파 입력을 코사인파 출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오프앰프 적분기는 피드백 저항이 커패시터로 대체된 역방향 증폭기 구성 기반입니다. 커패시터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반응도(Xc)를 가지는 주파수 종속 요소입니다. 커패시터의 반응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C는 커패시터의 용량입니다.
아래는 오프앰프 적분기의 회로도입니다:
입력 전압(Vin)은 저항(Rin)을 통해 오프앰프의 역방향 입력 단자에 적용됩니다. 비역방향 입력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어 있어, 역방향 입력 단자에서도 가상 접지가 형성됩니다. 출력 전압(Vout)은 피드백 루프의 커패시터(C)와 연결된 오프앰프의 출력 단자에서 취득됩니다.
오프앰프 적분기의 작동 원리는 Kirchhoff의 전류 법칙(KCL)을 노드 1, 즉 Rin, C, 및 역방향 입력 단자의 접합부에서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오프앰프 단자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방정식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음수 미분에 비례함을 보여줍니다. 시간에 따른 출력 전압을 찾기 위해서는 양변을 적분해야 합니다:
여기서 V0는 t = 0일 때의 초기 출력 전압입니다.
이 방정식은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음수 적분과 상수에 비례함을 보여줍니다. 상수 V0는 커패시터의 초기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오프셋 전압 소스 또는 커패시터와 직렬로 연결된 포텐셔미터를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완벽한 오프앰프 적분기는 무한한 게인과 대역폭을 가지고 있어, 어떤 주파수와 진폭의 입력 신호라도 왜곡이나 감쇠 없이 적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오프앰프 적분기의 성능과 정확도를 제한합니다:
오프앰프의 특성: 오프앰프 자체는 유한한 게인, 대역폭, 입력 임피던스, 출력 임피던스, 오프셋 전압, 바이어스 전류, 노이즈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매개변수들은 출력 전압에 영향을 미치고, 이상적인 동작에서 오차와 편차를 초래합니다.
커패시터 누설: 피드백 루프의 커패시터는 작은 전류가 통과할 수 있는 일부 누설 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전되며, 적분 효과가 줄어들고 출력 전압에 드리프트가 발생합니다.
입력 바이어스 전류: 오프앰프는 종류와 설계에 따라 입력 단자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일부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전류는 Rin을 통해 전압 강하를 생성하고, 오프앰프가 볼 입력 전압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로 인해 출력 전압에도 오차가 발생합니다.
주파수 응답: 오프앰프 적분기의 주파수 응답은 커패시터의 반응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Xc는 감소하여 커패시터가 개로처럼 작동합니다. 주파수가 감소할수록 Xc는 증가하여 커패시터가 단락 회로처럼 작동합니다. 따라서 오프앰프 적분기의 주파수 응답은 주파수에 반비례하며, 다음과 같습니다:
이 방정식은 오프앰프 적분기의 전압 게인이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10배씩 20 dB씩 감소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오프앰프 적분기가 고주파 신호를 감쇠시키고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 필터처럼 작동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파수 응답은 출력 신호에 위상 이동과 왜곡을 일으키므로, 적분기에 이상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매우 낮은 주파수에서는 전압 게인이 매우 커져서 오프앰프의 출력 범위를 초과하여 포화 또는 클리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프앰프 적분기의 성능과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수정이 필요합니다.
오프앰프 적분기 회로를 수정하고 개선하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컨덴서와 병렬로 저항 추가: 이 저항(Rf)은 저주파에서 전압 게인을 제한하고 포화를 방지합니다. 또한 안정성을 개선하고, 커패시터 누설로 인한 출력 전압의 드리프트를 줄입니다. 수정된 회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회로의 전압 게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Zf는 Rf와 Xc의 병렬 임피던스이고, ||는 병렬 결합을 나타냅니다.
이 방정식은 DC(f = 0)에서 전압 게인이 -Rf/Rin이라는 유한값을 갖음을 보여줍니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압 게인은 10배마다 20 dB씩 감소하며, 코너 주파수(fc)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감소합니다. 여기서 Rf = Xc입니다. 이 주파수에서 전압 게인은 -Rf/2Rin입니다. 이 주파수를 넘어서는 전압 게인은 10배마다 40 dB씩 감소하며, 오프앰프의 대역폭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감소합니다.
코너 주파수는 Rf와 Xc를 같게 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코너 주파수는 회로가 적분기처럼 작동하는 주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