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회로 차단기의 트립 회로에는 다양한 접점들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고장난 전류가 전력 접점을 통과하더라도 차단기가 트립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SF6 차단기에서 가스 압력이 낮을 때나, 공기 압력 작동 차단기에서 공기 압력이 낮을 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차단기의 트립 코일이 에너지화되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가스 압력 및 공기 압력 릴레이와 관련된 NO 접점이 차단기 트립 코일과 직렬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다른 트립 코일 방식은 차단기가 열린 후 다시 에너지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차단기 보조 스위치의 하나의 NO 접점을 트립 코일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또한 CB의 트립 회로는 릴레이, 제어 패널 및 차단기 키오스크의 많은 중간 단자 접점을 통과해야 합니다.
따라서 중간 접점 중 하나가 분리되면 차단기는 트립하지 않습니다. 또한 트립 회로에 대한 DC 공급이 실패하면 차단기는 트립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트립 회로 감시가 매우 필요합니다. 아래 그림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트립 회로 건강 상태를 보여줍니다. 여기서는 한 개의 전구, 한 개의 푸시 버튼, 그리고 한 개의 저항이 보호 릴레이 접점에 걸쳐 직렬로 연결됩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보호 릴레이 접점을 제외하고 모든 접점이 닫힌 상태입니다. 이제 푸시 버튼(PB)을 누르면 트립 회로 감시 네트워크가 완성되고 전구가 점등되며, 이는 차단기가 트립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위의 방식은 차단기가 닫혔을 때의 감시를 위한 것입니다. 이 방식은 포스트 클로즈 감시라고 합니다. 또 다른 감시 방식으로는 프리 및 포스트 클로즈 감시가 있습니다.
이 트립 회로 감시 방식도 매우 간단합니다. 유일한 차이는 여기서 같은 보조 스위치의 하나의 NC 접점이 트립 회로의 보조 NO 접점에 걸쳐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보조 NO 접점은 차단기가 닫힐 때 닫히고, 보조 NC 접점은 차단기가 열릴 때 닫힙니다. 따라서,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차단기가 닫혀있을 때 트립 회로 감시 네트워크는 보조 NO 접점을 통해 완성되지만, 차단기가 열려있을 때는 동일한 감시 네트워크가 NC 접점을 통해 완성됩니다. 저항은 전구의 손상으로 인한 내부 단락으로 인해 차단기가 의도치 않게 트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구와 직렬로 사용됩니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은 현지 제어 설치를 위한 것뿐이며, 원격 제어 설치를 위해서는 릴레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아래 그림은 원격 신호가 필요한 경우의 트립 회로 감시 방식을 보여줍니다.
트립 회로가 정상이고 차단기가 닫혀있을 때, 릴레이 A가 에너지화되어 NO 접점 A1이 닫히고 따라서 릴레이 C가 에너지화됩니다. 에너지화된 릴레이 C는 NC 접점을 열린 상태로 유지합니다. 이제 차단기가 열렸을 때, 릴레이 B가 에너지화되어 NO 접점 B1이 닫히므로 릴레이 C가 에너지화됩니다. C가 에너지화되면 NC 접점 C1을 열린 상태로 유지합니다. 차단기가 닫혀있는 동안 트립 회로에 불연속성이 발생하면 릴레이 A가 에너지화 해제되어 접점 A1이 열리고 결과적으로 릴레이 C가 에너지화 해제되어 NC 접점 C1이 닫히고 따라서 알람 회로가 작동됩니다. 트립 회로 감시는 차단기가 열렸을 때 릴레이 B가 차단기가 닫혔을 때 릴레이 A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됩니다. 릴레이 A와 C는 구리 슬러그로 시간 지연되어 트립이나 닫힘 작업 중에 잘못된 알람을 방지합니다. 저항은 릴레이와 별도로 장착되며, 값은 임의의 구성 요소가 단락되었을 때 트립 작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됩니다.
알람 회로 공급은 주 트립 공급과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트립 공급이 실패하더라도 알람이 작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Statement: Respect the original, good articles worth sharing, if there is infringement please contact 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