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류 모터에서 정자 권선(또는 암처 권선)의 회전 수는 그가 생성하는 유도 전동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정자 권선의 각 위상 당 유도 전동력의 유효값 E1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E1 = 4.44 K1 f1 N1 Φ
여기서:
E1은 정자 권선의 각 위상 당 유도 전동력의 유효값입니다.
K1은 권선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정자 권선의 권선 계수입니다.
f1은 정자 권선에서 유도되는 전동력의 주파수로, 전원의 주파수와 같습니다.
N1은 정자의 각 위상 권선의 직렬로 연결된 도선의 회전 수입니다.
Φ는 회전 자기장의 극 쌍 자기 플럭스, 즉 정자 권선을 통과하는 교류 자기 플럭스의 최대 값(웨버 단위)입니다.
위의 공식에 따르면, 감전형 직류 모터의 전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를 알아야 합니다:
정자 권선 회전 수 N1
권선 계수 K1
전원 주파수 f1
자기 플럭스 (Φ)
이러한 매개변수가 알려지면, 위의 공식을 사용하여 유도 전동력 E1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터의 전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에서는 감전형 직류 모터의 전압을 결정할 때 모터 설계 요구 사항, 부하 특성, 전체 시스템 성능 등 다른 요소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계산된 전압이 모터의 안전 운전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정자 권선이 38회전, 권선 계수 K1이 0.9, 전원 주파수 f1이 50 Hz, 플럭스 Φ가 0.001 웨버인 DC 모터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유도 전동력 E1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E1 = 4.44 × 0.9 × 50 × 38 × 0.001 = 7.22 V
따라서 이 모터의 전압은 대략 7.22V입니다.
위의 공식과 단계를 통해 정자 권선의 회전 수와 기타 관련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병렬 감전형 DC 모터의 전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적용에서는 모터의 정상 작동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요소들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