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I. 포화 리액터 기반 직렬 공진 FCL
| 
 영향 요인  | 
 핵심 결론  | 
 전형적인 시뮬레이션 데이터 (예시)  | 
| 
 1. 포화되지 않은 인덕턴스 LB1  | 
 LB1를 늘리면 커패시터 과전압이 크게 감소하지만 단락 전류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효과가 포화됩니다.  | 
 LB1=1317mH: 커패시터 전압 270kV; LB1=1321mH: 커패시터 전압 157kV (42% 감소)  | 
| 
 2. 포화된 인덕턴스 LB2  | 
 최적 범위가 존재합니다 (1-7mH). 너무 작으면 제한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크면 커패시터 과전압이 심각해집니다.  | 
 LB2=7mH (C=507μF, L=20mH): 단락 전류 25kA, 커패시터 전압 157kV  | 
| 
 3. C/L 파라미터 조정  | 
 단락 전류와 커패시터 과전압을 협력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조합이 존재합니다.  | 
 최적 조합 (C=406μF, L=25mH): 단락 전류 22kA, 커패시터 전압 142kV  | 
| 
 4. 단락 시작 각도  | 
 일시적 특성은 위상각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0°/180°에서 가장 심각한 과전압이 발생하므로 설계 시 최악의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 
 0° 위상: 단락 전류 18kA, 커패시터 전압 201kV; 90° 위상: 단락 전류 22kA, 커패시터 전압 142kV  | 
III. ZnO 방전관 기반 직렬 공진 FCL
| 
 영향 요인  | 
 핵심 결론  | 
 전형적인 시뮬레이션 데이터 (예시)  | 
| 
 1. 방전관 잔류 전압 및 C/L 조정  | 
 커패시터 과전압을 쉽게 제한할 수 있지만, L을 늘려 더 낮은 단락 전류를 추구하면 직렬 리액터의 과전압이 과도하게 됩니다.  | 
 C=254μF, L=40mH: 단락 전류 20kA, 리액터 전압 246kV; C=507μF, L=20mH: 단락 전류 35kA, 리액터 전압 173kV  | 
| 
 2. 단락 시작 각도  | 
 일시적 특성은 단락 위상각에 민감하지 않으며, 전류 크기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90°에서 최대 전류가 발생합니다.  | 
 90° 위상 (C=507μF, L=20mH): 단락 전류 35kA; 0° 위상: 단락 전류 28kA  | 
IV. 두 FCL 방안의 종합 비교
| 
 비교 차원  | 
 포화 리액터 기반 FCL  | 
 ZnO 방전관 기반 FCL  | 
| 
 핵심 장점  | 
 우수한 전류 제한 효과; 파라미터 최적화를 통해 단락 전류와 구성 요소 과전압 사이의 좋은 균형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 
 커패시터 과전압을 쉽게 제한할 수 있으며, 일시적 특성은 단락 위상각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설계가 간단합니다.  | 
| 
 핵심 한계  | 
 코어 히스테리시스 특성 및 C/L 파라미터의 정밀한 최적화가 필요하며, 커패시터 과전압 제어가 어려우며, 단락 위상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낮은 단락 전류를 추구할 때 직렬 리액터의 과전압 문제가 두드러지며, L 값의 엄격한 제어가 필요합니다.  | 
| 
 주요 파라미터 요구 사항  | 
 최적의 등가 포화 인덕턴스 LB2 ≈ 커패시터 반응의 1/3.  | 
 직렬 리액터의 인덕턴스 값은 너무 크지 않아야 합니다.  | 
| 
 적용 시나리오 선호도  | 
 고압 전력망에서 중저압 수준 (예: 110kV)에 적합하며, 높은 전류 제한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입니다.  | 
 커패시터 과전압에 민감하며, 중간 수준의 단락 전류 제한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 
| 
 공통 특성  | 
 1. 간단한 구조: 모든 구성 요소가 기존 전기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V. 결론
본 연구는 기존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두 가지 혁신적인 직렬 공진 고장 전류 제한기 솔루션을 제안함으로써, 기존 초전도체 및 전력 전자형 FCL의 기술적 및 경제적 병목 현상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