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일 도체는 일반적으로 220KV까지의 송전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220KV를 초과하는 시스템에서는 단일 도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매우 높은 전압 시스템에서는 중공 도체를 사용하여 전류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HV 시스템에서 중공 도체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220KV 이상의 전기 송전 시스템에서 중공 도체 대신 번들 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스트랜드 도체를 묶어서 더 많은 전류 용량을 얻는 도체를 번들 도체라고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각 상당에 두 개 이상의 스트랜드 도체를 사용합니다. 또한, 시스템의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번들 도체는 전기 송전 시스템에 다양한 장점을 제공합니다. 번들 도체는 전기 송전선의 반응도를 줄입니다. 또한 전압 기울기, 코로나 손실, 라디오 간섭, 송전선의 서지 임피던스를 줄입니다.
번들 도체를 만들면 도체의 기하학적 평균 반경(GMR)이 증가합니다. 도체의 자기 GMR이 증가함에 따라 도체의 인덕턴스가 감소합니다. 이론적으로, 번들 도체 표면에서 최소 전압 기울기를 주는 최적의 하위 도체 간격이 존재합니다. 전압 기울기를 줄이기 위한 하위 도체 간의 최적 간격은 도체 직경의 8~10배입니다.
전압 기울기가 감소함에 따라 라디오 간섭도 감소합니다.
번들 도체의 인덕턴스가 감소함에 따라, 선의 서지 임피던스가 감소합니다. 서지 임피던스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L은 단위 길이당 상당 인덕턴스이고, C는 송전선의 단위 길이당 상당 정전용량입니다. 도체를 번들로 묶음으로써 서지 임피던스가 감소하면, 도체의 서지 임피던스 부하가 증가합니다. 서지 임피던스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의 송전 용량이 더 커집니다.
Statement: Respect the original, good articles worth sharing, if there is infringement please contact 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