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머 작동 원리
트랜스포머는 전자기 유도의 원리를 이용하여 한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전기를 전송하는 전기 장치입니다. 이는 교류(AC) 시스템 내에서 전압 수준을 조정할 수 있게 해주며,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전압을 상승시키거나 하락시킬 수 있습니다.
작동 원리:
기본 구성 요소
트랜스포머는 두 개의 코일, 즉 "프라이머리 윈딩"과 "세컨더리 윈딩"으로 구성됩니다. 프라이머리 윈딩은 AC 전원에 연결되고, 세컨더리 윈딩은 부하에 연결됩니다. 이러한 윈딩은 일반적으로 자기성 물질(예: 철)로 만든 코어 주변에 감겨져 있습니다. 코어는 프라이머리 윈딩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집중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자기 유도 원리
교류가 프라이머리 윈딩을 통과하면 지속적으로 변하는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Faraday의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르면, 이러한 변하는 자기장은 두 윈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세컨더리 윈딩에 전압(전기 동력 또는 EMF)을 유도합니다.
전압 변환
세컨더리 윈딩에 유도되는 전압은 회전수 비율, 즉 세컨더리 윈딩의 회전수와 프라이머리 윈딩의 회전수의 비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세컨더리가 프라이머리보다 더 많은 회전수를 가진 경우 전압이 상승하며, 적은 회전수를 가진 경우 전압이 하락합니다.
전류 변환
전력 보존에 따라 전압과 전류 사이에는 역관계가 있습니다. 전압이 상승하면 전류가 감소하고, 전압이 하락하면 전류가 증가하여 전력 균형을 유지합니다.
부하 연결
부하(예: 가전제품이나 기계)는 세컨더리 윈딩에 연결되며, 세컨더리 윈딩은 변환된 전압을 공급하여 부하를 구동합니다.
절연 및 갈바닉 분리
트랜스포머는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회로 사이에 전기적 절연과 갈바닉 분리를 제공합니다. 이는 윈딩 사이에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없음을 의미하며, 안전성을 높이고 원하지 않는 전류 흐름을 방지합니다.
요약하자면, 트랜스포머는 프라이머리 윈딩에서 발생하는 변하는 자기장이 세컨더리 윈딩에 전압을 유도하는 전자기 유도 원리에 따라 작동합니다. 윈딩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면서 트랜스포머는 전압을 상승하거나 하락시키며,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회로 사이의 전력 균형을 유지합니다. 트랜스포머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전기 배달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배분 및 전송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