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머의 기본 구성 요소인 일차 및 이차 코일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통해 전기 에너지의 전송 및 변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일차 코일은 입력 소스로부터 고전압 전류를 받고 변화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며, 이차 코일은 이러한 자기장의 영향으로 대응되는 출력 전압을 생성합니다. 그들의 상호작용은 트랜스포머가 전압 변환을 수행하고 효율적인 전력 전송 및 분배를 가능하게 합니다.
위치와 구조
트랜스포머에서 두 코일은 일반적으로 공통의 철심 주변에 감겨 있어 전자기 유도를 통해 효과적인 자기 결합이 이루어집니다. 일차 코일은 입력 측에 연결되고, 이차 코일은 출력 측에 연결됩니다. 두 코일은 절연 재료와 코어 구조로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직접적인 전류 흐름을 방지합니다.
일차 코일: 고전압 측에 위치한 일차 코일은 철심의 한쪽에 감긴 많은 수의 절연 도체로 구성됩니다. 이는 입력 전류를 받아 코어 내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을 생성합니다.
이차 코일: 저전압 측에 위치한 이차 코일은 코어의 다른 쪽에 감긴 적은 수의 절연 도체로 구성됩니다. 이는 변화하는 자기 유속을 포착하여 변환된 (증폭 또는 감소) 전압을 출력합니다.

전압 변환 원리
트랜스포머에서의 전압 변환은 Faraday의 전자기 유도 법칙과 Lenz의 법칙에 의해 지배됩니다.
일차 코일: 교류 전류가 일차 코일을 통과할 때, 철심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생성됩니다. 이 변화하는 자기 유속은 이차 코일에 전압을 유도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이차 코일: 일차 코일로부터 발생한 변화하는 자기 유속은 Faraday의 법칙에 따라 이차 코일에 전동력을 유도합니다. 이 유도된 전동력은 출력에 연결된 부하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여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코일 회전수 비와 전압 변환 비
전압 변환 비는 일차 및 이차 코일 사이의 회전수 비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됩니다. 전자기 유도 이론에 따르면, 각 코일에서 유도된 전동력은 그 코일의 회전수와 비례합니다.
증폭 트랜스포머에서는 이차 코일의 회전수가 일차 코일보다 많아 더 높은 출력 전압을 생성합니다.
감소 트랜스포머에서는 이차 코일의 회전수가 일차 코일보다 적어 더 낮은 출력 전압을 생성합니다.
회전수 비는 특정 전압 변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정밀하게 설계됩니다. 따라서 회전수와 전압 비율 간의 관계는 트랜스포머의 작동, 성능 및 응용을 정의하는 기본적인 요소입니다.